메뉴

광양 서울대학교 남부연습림 관사...빛의 캔버스로 변신

  • 등록 2025.10.23 16:52:27
  • 조회수 2

자연의 가을빛 위에 ‘광양 국제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이 펼치는 예술의 빛 수놓아

 

[참좋은뉴스= 기자] 서울대학교 남부연습림 관사가 독특한 건축양식과 고즈넉한 분위기에 현대 예술의 감각이 더해지며 빛의 캔버스로 새롭게 태어났다.

 

광양시는 서울대학교 남부연습림 관사가 따사로운 자연의 빛과 ‘광양 국제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이 펼치는 예술의 빛으로 수놓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사는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 남부연습림 내에 지어진 2동 규모의 직원 숙소로 2005년 12월 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외벽은 키 높이까지 벽돌로 마감하고, 상부는 회벽과 목재 널판을 사용했으며, 기와지붕과 목재 격자창이 특징이다.

 

복도를 중심으로 양쪽에 방이 배치된 중복도 구조로 문지방 윗부분에는 환기창이 설치되어 있고 창틀이 돌출되어 있는 등 전형적인 일본식 주택의 구성 형식을 보여준다.

 

한적한 가을 오후, 고즈넉한 기와지붕과 오래된 목조건물이 어우러진 관사 주변에는 붉게 물든 감나무 잎 사이로 햇살이 스며들며 계절의 풍요로움을 더하고 있다.

 

남부연습림 관사는 2024년 2월, 105년 만에 시민에게 개방되어 특별전 ‘백암 이경모 사진가 기록전’을 시작으로 다양한 전시와 공연이 열리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났다.

 

현재는 ‘2025 광양 국제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의 주요 전시장으로, 고휘, 신재은 두 작가의 미디어아트 작품이 전시되고 있다.

 

고휘 작가의 ‘사라지는 것들을 위한 기록’은 제주도에서 발견한 멸종위기 식물의 고유한 특성을 예술적으로 재구성한 기록물로 야외에 설치돼 정서적 공감과 사색을 유도한다.

 

신재은 작가의 ‘가이아–소화계’는 먹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의 경계를 넘나들며 우월감과 죄책감 등 인간 감정의 뿌리를 탐구하고, 인간이 자연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성찰하도록 이끈다.

 

이현주 관광과장은 “역사가 깃든 서울대학교 남부연습림 관사가 가을의 정취와 현대 미디어아트가 조화를 이루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예술적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며 “오랜 시간의 흔적이 머문 풍경 속에서 가을 감성을 충전할 수 있는 광양을 많은 분들이 찾아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2025 광양 국제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은 10월 22일부터 11월 4일까지 서울대학교 남부연습림 관사를 비롯해 예담창고, 인서리공원, 광양예술창고 등 광양시 일원에서 진행된다.


[뉴스출처 : 전라남도광양시]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