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진주시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상파울루 개최 소식, 브라질 주요 언론을 통해 공식화

  • 등록 2025.10.26 18:13:12
  • 조회수 0

진주에서 개최되는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한국을 너머 세계 무대로

 

[참좋은뉴스= 기자]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Korea Drama Festival)’의 상파울루 개최 소식이 브라질 주요 언론을 통해 보도됐다.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의 상파울루 개최는 지난 10월 초 브라질 상파울루 문화교류단이 진주를 방문해 ‘코리아드라마어워즈’를 직접 참관한 것을 계기로 본격 추진되기 시작했으며, 내년에 개최될 예정이다.

 

현지 언론들은 이번 소식을 “한국과 브라질 간 문화 교류의 새로운 이정표이자, 한류 콘텐츠가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나아가는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하며, 진주를 한류문화 확산의 중심지로 조명했다.

 

방문 당시 상파울루 시의원 마르시오 켄지 이토(Marcio Kenji Ito)는 “진주에서 본 드라마어워즈는 단순한 시상식을 넘어, 한류의 문화적 힘과 산업적 잠재력을 선보이는 축제였다”며 “브라질에서도 시민들이 K-drama의 감동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유사한 행사를 추진하고 싶다”고 밝혔다.

 

브라질 언론(Veja 브라질 시사 주간지)은 이번 진주-상파울루 간 협력 소식을 잇따라 보도하며,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의 남미 진출을 “양국 간 문화·산업 협력의 상징적 사례”로 평가했다. 이들 언론은 진주가 한류문화의 발신지로서 새로운 국제 문화 거점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파울루 개최를 통해 K-drama의 감정과 서사가 남미 관객에게 직접 전달될 것이라는 기대를 전했다.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은 2006년 진주시에서 시작된 대한민국 드라마 최초 축제로 시상식을 통해 배우와 감독, 방송사 등 한국 드라마 산업의 주요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행사다. 올해로 18회를 맞은 이번 행사는 지난 10월 10일부터 19일까지 진주 남강변과 경남문화예술회관 등에서 열렸으며, 수백 명의 방송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참석해 한국 드라마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했다.

 

특히 ‘제16회 코리아드라마어워즈’에서는 지상파, 케이블, OTT 등에서 방영된 92편의 드라마가 후보로 올라 치열한 경합을 벌였고, 배우 안재욱이 〈독수리 5형제를 부탁해〉로 대상을, 육성재와 박보영이 각각 최우수 남녀 연기상을 수상했다.

 

진주시는 이번 브라질 언론 보도를 계기로 한류 콘텐츠의 세계적 확산 중심지로서 진주의 위상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조규일 진주시장은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의 해외 최초 진출이 진주를 세계 속 문화산업도시로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제 문화 교류를 확대하고, 진주가 가진 문화·예술·콘텐츠 역량을 세계 무대에서 적극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남도진주시]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