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박명영 시인, 동시집 출판기념회 성료

창작산맥 시흥지부 ‘별다방 한국 문학연구소’ 주최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지난 11월 19일 시흥 정왕평생학습관에서 창작산맥 시흥지부 소속 ‘별다방 한국 문학연구소’가 주최하고 아시아예술출판사 및 한반도 문학 후원으로 박명영 시인 동시집 출판기념회가 성황리에 열렸다.

 

창작산맥 시흥지부 ‘별다방 한국문학연구소’ 손희 대표의 사회로 개회사 및 국민의례 후 박명영 시인의 내빈 소개의 시간이 있었다. 이날 내빈으로 신상성 서울문화예술 초대 총장, 구자룡 부천시인대표, 고광덕 목사, 현재봉 베드로 목감본당 주임신부와 이진희 베로니카 수녀, 안산문인협회 김영숙 전 회장, 고려대 박금숙 교수 등 시인과 성당 지인, 그리고 가족과 친척들이 찾아와 축하의 자리를 빛내줬다.

 

축사는 신상성 서울문화예술 초대 총장, 구자룡 부천시인협회 대표, 목감성당 현재봉 베드로 주임신부 등이 했다. 축시 낭송으로는 안산문인협회 김영숙 전 회장이 ‘비누’ 동시를 맛깔나게 했고 작가의 삶과 비슷하다며 정호승 시인의 ‘내가 사랑하는 사람’의 시를 낭송했다. 이어 이양숙 재무이사가 나와 박명영 시인의 약력을 소개했고 정정숙 부회장이 삽화를 그린 작가의 막내딸인 신수련 양의 약력을 낭독했다. 이어 한양대 고천재 성악가가 김동규의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 등을 불려 감동을 전했다. 그리고 시흥지부 ‘별다방 한국문학연구소’ 소속 회원들과 참가자들이 작가의 동시 및 제자의 동시를 낭송하는 시간을 가지며 훈훈함을 더했다.

 

축사를 한 신상성 교수는 “20년 넘게 알고 온 박명영 시인은 맑은 영혼을 가지고 동시를 쓰고 있으며, 가정에서 또 성당에서 봉사도 열심히 하는 모습이 참 아름답다. 그러면서 문학 활동도 열심히 하고 또한 학생들을 지도하는 등 일인 십 역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박명영 시인이 친정아버지와 같다고 소개한 구자룡 부천시인대표는 “박명영 시인과 알고 지낸 지 30년 가까이 되었다. 30년 전 시인이 백일장 입상하면서 부천복사골문학회 도원동인으로 소속되어 10년 가까이 합평하며 공부하다가 2006년에 자유문학으로 등단까지 했다.”며 “등단과 함께 도원동인 ‘강깊은 저녁에’라는 동인지를 냈으며, 2017년 1월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집을 발간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하며, 이렇게 또 ‘친구야 놀자’ 동시집을 내는 걸 보니 기쁘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목감성당 현재봉 베드로 신부는 “박명영 시인의 세례명인 카타리나 성녀는 활발하고 열정적인 삶을 살다간 성녀이다. 그런 성녀처럼 열정적인 삶을 살아가는 박 시인의 모습에 감동받았다.”고 말했다.

 

독실한 가톨릭신자인 박명영 시인은 자신이 몸담고 있고 목감성당에 이번 동시집 판매금 백만 원을 성전건립금으로 기부하기도 했다. 박명영 시인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집과 동시집 ‘친구야 놀자’는 현재 교보문고 등에서 전자책과 함께 판매되고 있다.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 市 정신건강복지센터 격려 방문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이 지난 3월 18일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해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최근 정신건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박태순 의장의 제안으로 마련된 이번 방문 일정에는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 회원 가족모임회장을 맡고 있는 안산양무리교회의 김희창 목사와 센터 회원 가족들, 안산시 단원보건소 관계자들도 참여했다. 박태순 의장이 찾은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진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1997년에 설립된 기관으로, 현재 총 36명의 인력이 안산시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장애인들의 사회복귀·회복을 위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태순 의장은 이날 현장에서 사업 내용과 운영 현황에 대해 설명을 듣고 센터 측과 회원 가족들의 애로사항을 파악했다. 특히 농작물 재배를 통해 자립과 사회성을 도모하는 외국의 공동체 사례를 소개하며 안산에 적용 가능한 정신건강 지원 사업 모델의 착안점을 제공하기도 했다. 아울러 지역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언어 장벽으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 사업의 필요성을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