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안산문인협회, ‘제37회 전국 별망성백일장 시상식 성황리에 개최’

영예의 대상, 경기도지사상에 추계예술대 1학년 김지은씨의 '곱창거리의 뒷축' 수상

 

 

[참좋은뉴스= 강희숙 기자] (사)한국문인협회 안산지부(회장 오필선, 이하 안산문협)는 지난 9월23일 별망성예술제를 개최한 선부광장에서 제37회 전국 별망성백일장 시상식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안산문협은 지난 8월1일부터 30일까지 공모전으로 개최한 “제37회 전국 별망성백일장”에 접수된 200여 편의 작품을 엄정하게 심사하여 총 43편의 우수작을 선정했다.

 

 

영예의 대상 경기도지사상에는 추계예술대 1학년에 재학중인 김지은 학생의 운문 ‘곱창거리의 뒷축’이 선정됐다. 대상을 받은 김지은 학생은 안산시 문화체육관광 이정숙 국장이 시상하였으며, 상장과 상금 50만원이 수여됐다.

 

안산시장상을 수여한 일반부 금상은 고양시에 살고 있는 오유민 씨의 운문 ‘별망성지에 오르면’이, 포천시에 사는 채현기 씨의 산문 ‘한탄강’이 각각 수상했다. 안산시의회 의장상을 수여한 초등부 금상 수상자는 인천 신선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이승열 학생의 운문 ‘내 친구’와 대구 함지초 4학년에 재학중인 황시영 학생의 산문 ‘행복한 물물교환’이 각각 수상했다.

안산교육장상을 수여한 중고등부 금상 수상자는 안양예고 2학년에 재학 중인 최지우 학생의 운문 ‘나무의 심장’과 고양예고 2학년에 재학 중인 최아인 학생의 산문 ‘빠져나가는 길’이 각각 수상했다.

 

한국문인협회 이사장상을 받은 은상 수상자는 전남 목포시의 전대원 씨와 인천시에 살고 있는 최경수씨가 수상했다. 중고등부에서는 통영 충무여중 1학년에 재학 중인 최연서 학생과 나주 매성중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최아원 학생이 각각 수상했다. 초등부 수상자는 고양 오금초 6학년에 재학 중인 오유성 학생과 대구 관남초 4학년에 재학중인 박초혜 학생이 각각 수상했다.

 

안산예총회장상과 안산문화원상을 받는 동상 일반부 수상자는 임호숙, 선기찬, 이만수, 이금진 씨가 수상했으며, 중고등부는 고양예고 2학년 신로아, 서천고 3학년 김민수, 판교고 3학년 이송은, 고양예고3학년 최수연 학생이 각각 수상했다. 초등부 수상자는 안산 해솔초 6학년 박시현, 수원 산의초 6학년 김하늘, 화성 봉담초 6학년 이아린. 인천 신선초 4학년 박지후 학생이 각각 수상했다.

 

 

안산문인협회장상을 받는 장려상 수상자는 일반부에 이채원, 임미경, 윤태숙, 전대일, 김갑주, 손영준씨가 수상했으며, 중고등부 수상자는 정지우, 김가림, 김찬유, 국민수, 김수빈, 김명진 학생이 수상했고, 초등부 수상자는 김민준, 정원혁, 서주은, 유혜윤, 박지원, 박제영 학생이 각각 수상했다.

 

심사위원장을 맡은 류근홍 안산문협 수석부회장은 “모든 응모 작품이 창의성과 예술적 재능이 탁월해서 심사하기가 어려웠다.”며 “각고의 심사 끝에 수상작을 선정하게 됐다.”고 해를 거듭할수록 작품 수준이 높아짐에 경이로움을 느낀다며 심사평을 전했다.

 

올해는 멀리는 제주도에서 강원도까지 예년보다 전국적으로 많은 분들이 백일장에 응모해 주었으며, 특히 안산을 주제로 한 작품은 가산점을 주어 안산을 홍보하고 알리는 역할을 톡톡히 담당했다고 행사 관계자는 전했다.

 

 

안산문인협회 오필선 회장은 “글쓰기의 시작은 언제나 설렘과 기대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가끔은 어려움과 좌절이 함께하곤 한다. 자신의 감정을 믿고, 다른 작가들의 자품을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이야기를 펼쳐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별망성 백일장에 응모해 준 모든 분께 소감을 전했다.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