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안산 제조기업 ‘25년 2분기 경기전망지수 ‘78.0’

반등했지만, 기업 체감경기 위축 지속
안산지역 25년 2분기 BSI ‘78.0’, 전분기 대비 21.0p 상승
그러나 BSI 기준치 100에 못 미쳐, 부정적 전망 지속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안산상공회의소가 안산지역 소재 제조기업 118개사를 대상으로 2025년 2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직전 분기(57) 대비 21.9p 상승한 ‘78.0’으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전국 종합 전망지수(79.3) 및 경기도 종합 전망지수(81.1)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 3년간 2분기 BSI 최고점은 지속 하락하고 있어, 기업들의 체감경기는 여전히 위축된 상태로 나타났다. 특히 내수경기의 부진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원부자재 가격 상승 등 국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기업들은 BSI 기준치(100)를 하회하는 신중한 전망을 보였다.

 

세부 업종별로는 섬유의복(129), 전기전자(113)가 ‘호조’를 전망, 목재종이(100), 운송장비(100)업종은 ‘보합’, 석유화학(78)업종은 ‘부진’, 그 외 비금속(67), 기계설비(67), 기타(64), 철강금속(57) 업종은 ‘침체’를 전망했다.

 

항목별로는 매출액(88.1), 자금사정(83.1), 설비투자(82.2), 영업이익(78.8), 종합(체감)경기(78.0)은 ‘침체’를 전망했다.

 

 

전년대비 올해 계획한 매출실적 목표 수준으로 응답기업의 50.9%[‘10%이내 소폭하향(37.3%)’, ‘크게 하향(13.6%)’]가 올해 계획한 매출 목표가 지난해 설정한 목표치보다 낮다고 응답했으며, 이외에 ‘10%이내 소폭상향(22.9%)’, ‘지난해 수준(20.3%)’, ‘크게 상향(5.9%)’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올해 계획한 투자계획 목표 수준으로는 ‘지난해 수준(39.8%)’이 가장 많았고, 38.2%[‘10%이내 소폭하향(26.3%)’, ‘크게 하향(11.9%)’]는 투자계획을 하향 조정한 것으로 응답했다. 반면, 22.0%[‘10%이내 소폭상향(18.6%)’, ‘크게 상향(3.4%)’]는 상향 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사업실적에 가장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대내외 리스크 요인으로는 ‘내수경기 부진(30.5%)’, ‘트럼프發 관세정책(21.6%)’, ‘원부자재 가격 상승(21.2%)’, ‘고환율 기조 지속(12.7%)’,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10.2%)’, ‘자금조달 및 유동성문제(3.4%)’, ‘기타(0.4%)’ 순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트럼프 관세 영향권 포함 여부로는 76.3%[‘간접적인 영향권에 있음(61.0%)’, ‘직접 영향권에 있음(15.3%)’]가 직·간접적으로 관세 영향권에 포함된다고 응답했으며, 그 외 ‘미국의 관세와는 무관함(22.9%)’, ‘경쟁국에 대한 관세 확대로 반사이익 가능성 있음(0.8%)’ 순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관세 영향권에 있는 응답기업의 유형은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28.6%)’,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22.0%)’, ‘미국에 완제품 직접 수출(15.4%)’, ‘기타(15.4%)’,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11.0%)’, ‘중국 외 멕시코, 캐나다 등에 부품·원자재 수출(7.7%)’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발표된 관세정책 중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정책으로는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반도체·의약품에 25% 관세부과(37.8%)’가 가장 많았으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추가관세 부과 및 최소 면세 혜택 박탈(31.5%)’,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추가 관세 부과(22.8%)’,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캐나다, 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부과(7.9%)’ 순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향후 우리나라에 대한 트럼프 관세정책이 구체화될 경우 기업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으로는 ‘간접영향으로 기업 매출 감소(50.5%)’,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7.5%)’, ‘고객사·유통망과의 계약 조건 악화(7.7%)’, ‘미국 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7.7%)’,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6.6%)’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트럼프 관세에 대비한 응답기업의 대응 수준으로는 ‘아직은 동향 모니터링 중(57.1%)’, ‘원가절감 등 자체 대응책 모색 중(20.9%)’, ‘아직 대응계획 없음(19.8%)’, ‘현지생산, 시장다각화 등 근본적인 과세회피 대응책 모색 중(2.2%)’으로 나타났다.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