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남교육청, 취학아동 관리 체계 점검 강화 나선다

  • 등록 2025.10.17 16:32:18
  • 조회수 1

학교‧지자체 협력해 월 1회 안전 확인, 취학단계별 현장 대응 체계화

 

[참좋은뉴스= 기자] 전라남도교육청은 지난 15일 전라남도의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제안된 학생 안전관리 강화 의견에 깊이 공감하며, 전라남도, 전라남도의회와 협력을 통해 더욱 안전한 교육환경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남교육청에 따르면 5분 발언에서 제시된 소재 미확인 인원수 1,391명의 차이에 대해 재확인한 결과, 주민등록상 7세부터 12세까지 도내에 주소를 둔 아동은 총 7만 8,625명이며, 이 중 재학 중인 학생은 7만 6,342명이고, 취학 후 유예 등 학적 변동 인원을 포함하면 7만 8,600명이다.

 

25명의 차이는 광주·전남 공동학구제에 따라 광주에 재학 중인 학생과 타시도에서 전입한 아동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일부 수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남교육청은 이러한 결과를 도민께 투명하게 설명하고, 향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 추진 점검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현재, 재학중인 학생은 주기적으로 학적 변동 및 출결상황을 점검해 학습권이 보장되도록 하고 있으며, 취학관리대상자에 대해서는 학교 의무교육관리위원회와 교육지원청 취학관리전담기구를 통해 월 1회 이상 소재와 안전을 확인하여 취학 독려를 실시하고 있다. 소재 확인이 어려운 경우 경찰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취학 의무가 이행될 수 있도록 적극 조치하고 있다.

 

앞으로, 주민등록 정보와 학적 정보를 긴밀히 연계하고, 교육지원청·학교·지자체 간 협력체계를 강화해 취학아동 관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교육지원청 취학관리전담기구를 중심으로 미취학 아동과 학적변동 학생의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며, 취학 이후 학적 변동이 발생한 학생의 소재도 신속히 확인하도록 관리체계를 재정비할 계획이다.

 

아울러, 취학단계별 관리와 현장 대응을 체계화하고, 취학관리 담당자 연수 확대·매뉴얼 정비·정기 점검 절차 강화를 통해 보다 촘촘하고 실효성 있는 관리체계를 운영할 방침이다.

 

김영신 교육국장은 “김재철 의원님의 학생 안전과 취학관리에 대한 깊은 관심과 제안에 감사드리며, 제시된 의견을 적극 수용해 모든 아동의 소재와 안전을 꼼꼼히 확인하여 신뢰받는 교육행정을 실현하고, 특히 전라남도와 협력해 취학아동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뉴스출처 : 전라남도교육청]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