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기도의회 성준모 의원,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기후위기 대응 토크 콘서트’ 참석

지난 18일 안산 송호고에서 토크 콘서트 개최
성 의원, “친환경 학교환경 조성에 협력 강화”

 

[참좋은뉴스= 황미라 기자]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성준모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이 지난 18일 오후 안산시 송호고에서 열린 ‘기후위기 대응 아동·청소년 권리증진을 위한 토크 콘서트’에 참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성준모 의원은 “기후위기로부터 학교와 교육시설도 더 이상 안전하지 못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이에 대비하는 노력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고 전하며 경기도의회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학교환경 개선 역점사업을 소개했다.

 

특히 “미세먼지로부터 학생들의 체육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실내체육관 건립사업은 2018년부터 경기도의회, 경기도, 경기도교육청이 소통하고 협치하여 추진하는 전국 유일 사업으로 그동안 2차례에 걸쳐 총 286개 학교에 실내체육관 건립을 추진”했으며, “올해 본예산에 설계비 100억원을 반영하여 실내 체육관 미보유 83개 학교를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그린스마트스쿨 사업은 40년 이상 경과한 학교 건물을 전면 증개축을 통해 스마트한 미래학교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사업으로, 경기도의 경우 총 사업비 2조 5천억원(국비 30%, 지방비 70%)을 들여 약 350여개의 교사동이 2025년까지 전면 증개축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교육환경 질적 개선을 위한 법제화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면서, 「경기도교육청 학교 실내 공기질 개선 및 유지․관리에 관한 조례」 제정을 통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고 학생의 건강보호 및 증진에 힘쓰고 있으며, 「경기도교육청 학교숲 조성 및 활성화 조례」는 학교부지에 자연 친화적 생태공간을 조성하여 학생들의 환경 감수성 함양과 지역주민의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도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적절한 교실 공기질 관리를 위한 경기도 차원의 대책관련 질문에 “일반교실 총74,788실은 지난 해 3월까지 공기정화장치(공기청정기 또는 환기설비)를 100% 설치했으며, 특별교실은 총 83,706실 중 31,060실(37%) 설치했다”면서 “지속적인 유지관리비 지원 및 유지관리 현황을 학교 홈페이지에 연 2회 공개하도록 하여 쾌적한 공기질 관리에 노력하는 한편, 미설치된 특별교실과 관리실 52,646실에 대하여 연차적으로 학교 의견, 예산 현황 등을 고려하여 확대 설치에 힘쓰겠다”고 답변했다.

 

끝으로 성 의원은 “경기도의회는 상임위는 물론 도의회 차원에서 지구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학교 환경개선 사업 예산확보와 사업시행에 만전을 기할 것”이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인식개선과 녹색생활 실천이 학교생활 전반에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교환경 교육에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뒤이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성과를 위해 교육공동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경기도, 경기도교육청과 상호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면서 발언을 마무리했다.

 

한편, 이번 토크 콘서트는 기후변화로 침해받는 아동․청소년들의 기본적인 권리(건강권, 학습권, 놀권리 등)를 이슈화하고, 그 권리가 지켜질 수 있도록 제도적, 정책적 개선을 모색하기 위해 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가 후원하고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등 4개 기관이 공동 주최했으며,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생중계됐다.


정치

더보기
경기도의회 정승현 의원, 道 재정 건전성 확보 및 상생발전기금 배분방식 개선 촉구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정승현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4)은 지난 11월 26일 열린 제379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2025년도 경기도 예산안 심의를 통해 재정 안정성과 효율성 제고와 출연금 대비 상대적으로 재정 지원이 적은 상생발전기금에 대한 불합리한 정부의 제도개선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했다. 정승현 의원은 통합재정안정화기금의 급격한 감소를 주요 문제로 언급하며, “2021년도 1조 5,296억 원 규모였던 기금이 2025년 425억 원으로 축소된 것은 재정 건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며, “향후 경기 악화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재정 부담에 대응할 여력이 부족하다”고 우려했다. 이에 그는 “확장재정 기조 속에서도 자체투자재원(가용재원)을 확보하고, 기금 운용의 건전성을 유지할 철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 의원은 기금 상환 부담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지역개발기금과 통합계정 상환액이 가용재원의 10~18%를 차지한다며, “확장재정 정책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를 뒷받침할 안정적 재정운용 계획과 기금 상환 등 장기적 채무 관리 방안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