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안산의 보고 ‘대부도’, 건축 하자로 원성 고조

천정에 물 세고 타일은 세로로 균열
피해자 호소에도 미뤄지는 하자보수

 

[참좋은뉴스= 김태형 기자] 안산시 대부도를 흔히들 ‘보고(寶庫)’라고 칭한다.

 

 

 

수도권에서 이만치 가깝고 풍광이 아름다운 곳이 드물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도에 이주에 정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주거에 필수인 신축 건물로 인해 피해를 호소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건축 측량을 주업으로 하고 있는 문 모 씨(67년생) 또한 대부도를 출장 차 들렸다가 그 아름다움에 매료돼 이주를 결심한 경우에 속한다. 그러나 가족들을 설득하는 것이 만만치 않았다. 가족들과 함께 대부도를 여러 차례 찾았고 가족들 역시 문 씨처럼 대부도에 매료돼 이주를 결심하고 기존 자산을 정리해 주거 마련에 들어갔다.

 

 

문 씨는 “우연이 현수막을 보고 한 업체를 찾았다.”고 건설 업체 선정 과정을 설명했다. 이후 지난 2020년 10월에 공사를 시작해 다음해 2월에 입주하게 됐다. 건축비만도 연면적 99㎡(2층 구조, 30평)에 2억 1천여만 원이 투입됐다.

 

 

 

“전에 살던 집은 도로와 가까워 소음이 심했다. 그래서 아파트를 알아보려 했으나 층간 소음이 사회 문제가 돼 단념하고 대부도로 이주했고 그 당시만 해도 가족 모두가 만족하고 행복했다.”고 이주 초기를 회상했다.

 

 

그러나 행복도 잠시였다.

잔금을 남기고 건물에 하자가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다. 화장실 타일이 세로로 길게 금이 가기 시작했고 2층에서 세는 물이 목조건물을 적시며 흘러내리기 시작했다. 심지어는 외부로까지 물이 번져가 심각한 상태가 됐다.

 

 

이에 문 씨는 시공사에 하자보수를 요구했으나 지금 현재까지 하자는 바로잡히지 않았다.

대부도에는 이와 유사한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바닥 공사에 방수와 단열 시공을 하지 않아 바닥재가 일어나고 겨울철 난방비가 100여만 원에 육박하는 등 피해를 본 시민이 발생했다. 또한 지반이 기우는데도 집값 하락으로 인해 외부에 알리지도 못 하는 사례도 있다.

 

 

대부도는 급격한 발전에 따른 기반시설 부족으로 수만은 민원이 발생해 행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신축 건물과 관련한 민원은 시의 의지만 있다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문제다. 건축업자의 부실한 시공으로 인한 민원이 지속될 경우 안산시에 정주의식을 갖고 정착하기는 불가능하다. 안산은 타 지자체보다 고소, 고발이 많은 곳으로 알려졌다. 건축 민원은 안산시의 잠재적 성장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다. 안산시의 건축행정에 분발을 촉구한다.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