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좋은뉴스= 김태형 기자] 사동공원이 조만간 도시계획 취지에 맞게 시민의 품으로 돌아올 전망이다.
그러나 개발 방식에 있어서는 집행부 방식에 이견이 있어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지난 4월 4일 개최한 제282회 안산시의회(임시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5차)에서 한갑수 예결위 위원은 천억 원대의 재정 투자 개발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먼저 안산시 공원과 이병인 과장은 사동공원 개발이 늦어진 점에 대해 “1977년 최초 공원 결정이 됐으나 소송으로 인해 미뤄지다 2019년 대법원 판결이 종결돼 2020년도에 실시계획 고시를 했다”고 설명했다.
발언 내용 중 개발 계획을 요약해 보면, 사동공원 개발 재정 투입은 총 1,148억 원이다. 이중 사업비는 37억이면 나머지 1,101억은 토지보상비다. 국유지와 수자원공사로부터 소유권이 넘어온 토취장이 포함된 가격이다. 순수 사유지만 659억이며 100%를 매수할 수 있다. 현재까지 104억의 예산이 투입돼 사유지의 15%를 매수했다. 내년까지 재정안정화기금 280억을 추가 투입해 매수하면 75%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내년 이후 267억을 추가 투입해 사유지 100%를 확보해 2024년 하반기 또는 다음해 초에 공사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한갑수 위원은 “지금 현 안산시 재정 여건으로 천억여 원을 투입해 공원을 조성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상당히 잘못된 판단이라고 생각한다”며 “혁신도시로 가고자 하는 이민근 시장의 슬로건에도 안 맞다. 우리 안산시 재정이 거꾸로 가고 있는데 슬로건만 혁신일 뿐이지 행정은 거꾸로 퇴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산지형공원이라 개발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는 공원과장의 설명에 “그러면 어용 산지가 되는 것이다. 현재 사동공원 나무는 잡목이다. 수정 갱신을 해야 한다.”며 “수천억 원이 투입되는 사업에 수종 갱신도 안 한다면 뭐 하러 사유지를 사들이나. 재정으로 진행할 경우 구체적인 설계가 있어야 한다. 사업 계획에 있어 명시적인 이유와 타당성이 나와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