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70대에 운동을 시작한 이노성 어르신

퇴행성관절염을 운동으로 극복하며 알바도 참여
“행복하다. 건강해야만 이 기쁨을 알 수 있다”

 

[참좋은뉴스= 김태형 기자] “이 나이에 뭐 해?”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듣는 말이다. 새로운 도전을 추천해 보려 해도 이런 말에 가로막히고 만다. 이는 세대를 초월한다. 30·40대 후배에게도, 50대 친구에게도, 70대 어머니에게도 자주 듣는다. 그러나 이런 흔한 거절에도 놀라움을 보여 주는 분들이 계시다.

 

안산 고잔동에 위치한 ‘동산헬스타운’을 지난 연말에 찾았다. 청장년 사이에 헬스 장비인 ‘천국의 계단’을 열심히 하고 계시는 여성이 눈에 띄었다. 외모로 봤을 때는 나이를 가늠하기 어려웠다.

 

많이 봐야 60대 후반!

 

그러나 착각이었다.

 

안경도 새로 맞춰 시력의 문제는 아니다.

 

젊다! 아주 젊다!

 

78세 이노성 어르신, 해가 바뀌어 79세시다.

평범한 가정주부로 살아 왔다. 60때까지 몸무게가 60kg이었다고 하니 전형적인 우리들의 어머니의 모습이다. 이쯤 되면 여기 저기 아픈 곳이 생기기 마련이다. 아니나 다를까 퇴행성관절염의 그림자가 슬금슬금 다가오고 있었다.

 

 

“무릎이 아파오기 시작했다. 의사 선생님이 운동을 하라고 권했다. 근육으로 잡으라는 것이다. 많이 걷지는 않는다. ‘런닝머신’, ‘천국의 계단’으로 운동을 하면서 다리에 힘이 많이 생겼다.”

 

어르신의 건강 비결에는 운동만이 아니다. ‘동산헬스타운’을 다니기 시작하면서 관원들과 소통하는 시간이 건강의 비결 중 하나가 됐다. 이곳에는 10년, 20년 이상 꾸준히 운동을 하고 계시는 어르신들이 꽤 눈에 띈다.

 

권희원 부관장은 “코로나 시기 전만 해도 운동 하시로 오시는 고령자 몇 분이 더 계셨다. 그러나 요즘 그분들이 안 보이신다. 아마도 운동을 꾸준히 하셨으면 거동에는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라고 안타까워했다.

 

 

이노성 어르신은 “알바로 월10일 간 교통봉사를 한다. 일도 하고 용돈도 번다. 행복하다. 건강해야만 이 기쁨을 알 수 있다”라고 만족감을 말씀해 주신다.

 

이노성 어르신의 결단은 75세부터였다. 요가는 일주일에 5일을 매회 2시간씩 강행했고 헬스는 77세부터 시작했다. “이 나이에 뭐 해?”라는 말로 숨 쉬는 것이 운동의 전부였던 이들에게 이노성 어르신의 결단은 기적에 가깝다.

작심삼일이라도 결단을 내려 보자. “아자아자 화이팅!!!”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