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성호사설 제2권 / 천지문(天地門) [제49화]

목성토쇠(木盛土衰)

今俗云人居樹木太盛有害/其說亦有所祖唐桑道茂云人居而木蕃者去之/木盛則土衰土衰則人病乃/以鐡数十匀埋其下復曰後有發其地而死者/太和中温造居之發蔵鐡而死/盖術家之說徃徃竒中然都不可信以為㨿若/山中叢菀之間人居亦盛是其驗也/以理言地力衰則草木亦當不能生遂故/程子論葬地云土色之光潤草木之/茂盛而已若但如彼說丘木亦可斬也/
ⓒ 성호기념관

 지금 세속에서, “사람의 집에 수목(樹木)이 너무 무성하면 해가 있다.”고 말하는데, 그 설은 나온 데가 있다. 당(唐) 나라 상도무(桑道茂)는 사람의 집에 나무가 무성하면 제거해야 된다. 나무가 무성하면 흙이 쇠하고, 흙이 쇠하면 사람은 병든다.”하고, 곧 쇠[鐵] 수천 근을 잣나무 밑에 묻고 나서 다시, “후세에 여기를 파고서 죽는 자가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 뒤 태화(太和) 연간에 온조(溫造)가 그 집에 살게 되었는데 그 묻은 쇠를 파내고 나서 과연 죽었다. 대개 술가(術家)들의 말에 더러는 신기하게 맞히는 것도 있기는 하나 모두 믿고서 의지할 것은 못된다. 산중(山中)에 나무가 우거진 곳에서도 사람의 집이 흥왕(興旺)하고 있는 것은 그 증거이다.

이치로서 말한다면 지력(地力)이 쇠하면 초목도 모두 생장(生長)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정자(程子)가 장지(葬地)를 논하여 말하기를, “흙빛이 광택(光澤)이 나고, 초목이 무성한 곳을 택할 뿐이다.”고 하였다. 만약 저 상도무의 설을 믿는다면 구목(丘木)도 모두 베어 버려야 할 것이다.

[주-D001] 목성토쇠(木盛土衰) : 나무가 성하면 흙이 쇠한다. 오행상극(五行相克)의 이치로 본다면 나무가 흙을 이기는[木克土] 것이기 때문에 나무가 성하게 되면 흙은 쇠하게 된다.[주-D002] 후세에 …… 있을 것이다 : 이 말은 《당서(唐書)》 상도무전(桑道茂傳)에 보이는데, 도무의 집에 있는 두 그루의 잣나무가 매우 무성하므로 이런 말을 한 것이다.[주-D003] 그 뒤 태화(太和) …… 과연 죽었다 : 이 말은 《당서》 온조전(溫造傳)에는 보이지 않음.[주-D004] 구목(丘木) : 묘지(墓地) 옆에 심은 나무.                           
ⓒ 한국고전번역원 | 임창순 정소문 홍찬유 (공역) | 1977

우리 참좋은 뉴스신문사에서는 안산의 대표적인 성리학의 대가인 
성호 이익 선생에 대한 유고집인 성호사설을 연재하기로 결정하고
한국고전번역원과 합의하에 성호사설 제1권부터 원문은 물론
번역문을 편집하여 게재하기로 하였다.


정치

더보기
사이동 지역구의원 초청 간담회
[참좋은뉴스= 이광석 전문기자] 8월 12일 사이동(동장 두현은) 주민자치회는 커뮤니티센터에서 지역구 시 도의원 초청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번 간담회는 주민자치회가 주최하고 기획홍보분과 주관으로 진행된 행사로 의원들의 의정활동과 지역 현안을 나누는 시간이 되었다. 김동규 경기도의원, 한명훈, 한갑수, 최찬규 안산시의회 의원 등이 참석해서 현안을 나누는 시간이었다. 간담회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받은 교통, 환경등 주민 의견서 등이 전달되었다. 김동규 도의원은 경기정원 관련해서 현재 본격적인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경기도 차원에서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챙길 것을, 한명훈 의원은 주민 불편 사항으로 제기된 대중 버스 노선 문제, 한갑수 의원은 어울림 공원과 추후 체육 시설 등에 대한 계획, 최찬규 의원은 경기정원 인근 구거 정비, 어린이 숲 놀이터 등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할 것을 발표했다. 주민자치회는 대형차 불법주차, 차도 도색 등의 현안과 함께 거주자 우선주차 추진에 대한 협조를 전달했다. 시의원들은 안산시 차원에서 챙겨야 할 부분을 행정과 협력을 통해 해결 할 부분을 약속했고, 김동규 도의원은 현안에 대한 경기도에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