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박옥수 목사 성경 세미나, ‘영원한 속죄’ 전해

8일부터 11일까지 기쁜소식인천교회서 열려

 

세계 기독교가 주목하는 ‘박옥수 목사 성경세미나’가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나흘간 기쁜소식인천교회에서 열렸다.

 

한국기독교연합(KCA)이 주최하고 기쁜소식선교회가 주관하는 박옥수 목사 성경세미나는 아침, 저녁 총 7차례 박옥수 목사의 성경 강연이 진행됐고, 강연에 앞서 그라시아스합창단이 특별 찬양을 선보였다.

 

 

성경세미나에 참석한 이윤자씨는 “이렇게 멋진 찬양은 처음 들어본다. 합창단들의 얼굴에 비치는 기쁨과 미소에 매료되었고, 세미나 기간에 합창단을 계속 볼 수 있어서 너무 좋다. 더 많은 사람들이 합창단의 찬양을 들었으면 좋겠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번 성경세미나에서 박옥수 목사는 신약성경 히브리서 9장과 10장 말씀을 통해 ‘영원한 속죄’에 대해 설교했다.

 

 

박 목사는 “‘이 뜻을 좇아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단번에 드리심으로 말미암아 우리가 거룩함을 얻었노라’ 우리가 받아야 할 사망의 저주를 예수님이 대신해서 받으셨기 때문에 우리는 죄 사함을 받고 거룩해졌다. 예수님의 피는 영원한 하늘나라의 제단에 뿌려졌기 때문에 우리의 죄는 영원히 사해진 것이다”며 “하나님은 하늘나라 가기에 전혀 부족함이 없도록 우리를 영원히 온전히 거룩하게 하셨다. 이것을 믿는 것이 예수를 믿는 것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기독교방송 국장은 “박옥수 목사님이 전하시는 하나님 말씀을 여러 번 들었는데 성경이 무엇을 말하는지 정확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 주신다. 우리가 율법을 지킬 수 없기에 구약에서 죄를 사하는 예표를 보여주시고 신약에서 십자가의 죽음으로 우리 죄를 사해주셔서 우리가 그것을 믿을 때 의로워진다는 말씀이 마음에 와 닿았다. 은혜 위의 은혜이다.”라며 참석 소감을 밝혔다.

 

 

성경세미나 참석자 윤순옥 씨는 “좋은 교회를 찾고 있었는데 박옥수 목사 성경세미나를 홍보하는 분을 만나 세미나에 참석했다. 영원한 속죄를 이루셨다는 말씀을 들었는데 내 모든 죄가 예수님의 피로 깨끗이 씻어져서 우리가 의인이 되었다는 말씀이 너무 감동적이다. 나를 위해 돌아가신 예수님이 감사하다”고 말했다.

 

1986년 부산을 시작으로 37년 째 개최되고 있는 ‘박옥수 목사 성경세미나’는 많은 기독교인들이 고민하는 죄와 구원, 거듭남, 믿음의 삶 등에 대해 성경을 바탕으로 쉽고 명료한 해답을 제시하며 일반 교인들은 물론 목회자들에게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박옥수 목사는 미국을 비롯한 각국 기독교계와 언론에서 ‘코로나 시대 가장 영향력 있는 복음 전도자’로 주목받고 있다.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의 시작과 함께 온라인으로 활발한 선교활동을 해 온 박옥수 목사에 대해 CTN, TBN, Enlace 등 유명 기독교 채널과 각국 주요 언론에서 박옥수 목사의 선교활동을 앞다퉈 보도했고, 박옥수 목사의 설교를 방송하고 있다.

북미 최대 기독교 채널 중 하나인 CTN은 박 목사의 ‘요한복음 강해’와 ‘마가복음 강해’를 방영 중이다.

 

이번 인천으로 시작한 성경세미나는 광주(12일~14일), 대구(15일~18일), 대전(19일~21일), 서울(23일~27일)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개최된다.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 市 정신건강복지센터 격려 방문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이 지난 3월 18일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해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최근 정신건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박태순 의장의 제안으로 마련된 이번 방문 일정에는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 회원 가족모임회장을 맡고 있는 안산양무리교회의 김희창 목사와 센터 회원 가족들, 안산시 단원보건소 관계자들도 참여했다. 박태순 의장이 찾은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진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1997년에 설립된 기관으로, 현재 총 36명의 인력이 안산시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장애인들의 사회복귀·회복을 위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태순 의장은 이날 현장에서 사업 내용과 운영 현황에 대해 설명을 듣고 센터 측과 회원 가족들의 애로사항을 파악했다. 특히 농작물 재배를 통해 자립과 사회성을 도모하는 외국의 공동체 사례를 소개하며 안산에 적용 가능한 정신건강 지원 사업 모델의 착안점을 제공하기도 했다. 아울러 지역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언어 장벽으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 사업의 필요성을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