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안산 제조기업 체감경기 2022년 1분기 이후 최저...올해도 어렵다

안산지역 소재 125개 제조기업 대상 BSI 조사…1분기 BSI ‘65’ 기록
철강금속 제외 전 업종(석유화학, 목재종이, 전기전자 등) 악화 전망
원자재값 상승, 내수시장 침체 등으로 목표대비 매출실적 및 영업이익 ‘미달’ 예상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안산상공회의소(회장 이성호, 이하 안산상의)는 지난 1월 6일 안산지역 소재 제조기업 125개 사를 대상으로 2023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65’(전국 74, 경기 68)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1분기 이후 최저 수준이다.

 

세부 업종별 BSI는 철강금속(100) 제외한 운송장비, 기계설비, 전기전자 등 대부분 업종에서 부진·침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22년 연초 목표 대비 매출실적의 경우 응답 기업의 60.0%가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다.

 

 

‘소폭 미달’은 42.4%, ‘크게 미달’은 ‘17.6%’로 나타났다.

 

영업이익 역시 응답 기업의 72.8%가 ‘미달’이라고 답했다.

 

이 중 ‘소폭 미달’이 45.6%로 가장 많았으며, ‘크게 미달’도 27.2%로 나타났다.

 

나머지 27.2%는 목표치 달성 또는 소폭 크게 달성으로 나타났다.

 

2022년 매출실적 및 영업이익 등 경영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국내외 요인으로, 응답 기업의 41.6%가 ‘원자재 가격’을 꼽았다.

 

그 뒤로 ‘내수시장 경기(32.8%)’, ‘수출시장 경기(8.8%)가 뒤를 이었다.

 

기업들이 예상한 2023년 한국경제 성장률은 응답 업체의 88.8%가 국내‧외 주요 기관의 전망치(1.5%~2.0%)보다 낮을 것이라 답했으며, 그 중 9.6%는 마이너스 역성장을 전망했다.

 

2023년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요인으로는 ▲물가‧원자재가 지속(34%), ▲내수경기 침체(22.4%), ▲고금리 지속(12%), ▲원부자재 수급 불안(10.4%), ▲고환율 장기화(9.5%), ▲수출둔화 장기화(4.6%) 순으로 집계됐다.(복수 응답)

 

리스크 요인을 관리하기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둬야 할 과제로 ‘환율 등 외한시장 안정(25.8%)’과 ‘자금조달시장 경색 완화(20.0%)’를 가장 많이 꼽았고, ‘규제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15.8%)’, ‘공급망 안정화(13.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복수 응답)

 

안산상의 관계자는 “고금리, 고물가 상황이 계속되고 원자재‧에너지 가격상승 등 대외요인으로 인하여 새해에도 안산지역 기업들의 경영환경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며 “경제 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정부가 역점을 둬야 할 주요 과제 중 하나로 ‘자금조달시장 경색 완화’를 꼽은 만큼, 기업들의 자금 여건 해결을 위한 정부 정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기업경기전망지수가 100 이상이면 ‘이번 분기의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것을 뜻하고, 작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 市 정신건강복지센터 격려 방문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이 지난 3월 18일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해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최근 정신건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박태순 의장의 제안으로 마련된 이번 방문 일정에는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 회원 가족모임회장을 맡고 있는 안산양무리교회의 김희창 목사와 센터 회원 가족들, 안산시 단원보건소 관계자들도 참여했다. 박태순 의장이 찾은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진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1997년에 설립된 기관으로, 현재 총 36명의 인력이 안산시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장애인들의 사회복귀·회복을 위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태순 의장은 이날 현장에서 사업 내용과 운영 현황에 대해 설명을 듣고 센터 측과 회원 가족들의 애로사항을 파악했다. 특히 농작물 재배를 통해 자립과 사회성을 도모하는 외국의 공동체 사례를 소개하며 안산에 적용 가능한 정신건강 지원 사업 모델의 착안점을 제공하기도 했다. 아울러 지역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언어 장벽으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 사업의 필요성을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