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극단 이유, ‘이어도’ 공연 임박

2월 1일~5일까지 총 6회 공연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안산을 대표하는 극단 이유(대표 김종숙)가 2023년 활동에 시동을 걸고 있다.

 

2023년 관객에게 선보이는 극단이유의 신작 <이어도>는 허먼멜빌의 <모비딕>을 각색해 재구성했다.

 

<이어도>는 대학로 소극장 혜화당의 제6회 소설시장페스티벌에 선정된 작품으로 강동효 각색, 연출로 2월 1일(수)~5일(일)까지 총 6회 공연으로 관객과 만난다.

 

소설시장이라는 페스티벌의 타이틀에 맞게 MD상품으로 귤 수제청도 단원들이 직접 만들어 판매할 예정이다.

 

'제주 앞바다에 있다고 전해지는 상상의 섬 이어도는 궁핍한 삶을 견디게 해주는 이상향과도 같았다.

 

「이어도 설화」는 그런 이상향에 대한 옛 사람들의 관념이 투영된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어도 설화」에서 이어도는 상상 속에서나 행복한 섬일 뿐으로, 이 때문에 사람들은 가족을 그리워하며 고향으로 돌아오는데, 이것은 곧 이상향이 가지는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네이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올해로 창단 10주년을 맞이하는 극단이유 김종숙 대표는 세 여인 중 정남 역을 맡아 연기하며 각오가 남다르다.

 

작품 속 세 여인의 사연이 궁금하다면 꼭 공연 관람을 추천한다.

 

극단을 창단하는 일도 쉽지 않은 선택이었지만 매년 창작극을 제작하고 극단을 운영하며 10년을 이끌어 왔다.

 

그동안 함께해 준 동료 연극인들이 있어 가능했다고 말하며 창단 10주년을 맞아 그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를 졸업했고 중학교 때부터 연극동아리 활동을 해 온 그녀는 연극에 진심인 사람이다.

 

이번 작품에서도 그녀의 열연이 기대된다.

 

극단이유가 소설시장에 올리는 작품 <이어도>는 모비딕을 쫓아 목숨까지도 내던 질 각오로 항해를 떠나는 이들의 사투를 제주도의 이어도 설화와 연관 지어 각색됐다.

 

극단 이유의 작가 겸 연출 강동효 씨는 객색의도에서 "언젠가 한 번은 허먼 멜빌의 소설 <모비딕>을 무대화하고 싶은 오랜 욕망이 있었다. 이 작품을 만나는 관객 여러분도 나와 같이 설레는 마음으로 세 여인의 작은 배에 같이 타기를 바란다. 그리고 그 바다에서 각자 자신만의 무언가를 찾아가기 바란다."고 소감을 말했다.

 

제주도가 고향인 그가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은 글을 쓰고 공연을 만드는데 있다고 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49,50>, <원펀치>, <식물인간>, <붉은밭>, <지우개 튜브> 등이 있다.

 

극단이유 김종숙 대표는 창단 10주년을 맞아 2023년 한해도 좋은 공연제작과 연극을 시작하는 후배들에게 귀감이 되는 극단으로 연극인 육성에도 앞장서겠다고 약속한다(공연 예약 010-3891-6681, 평일 10시~18시).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 市 정신건강복지센터 격려 방문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이 지난 3월 18일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해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최근 정신건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박태순 의장의 제안으로 마련된 이번 방문 일정에는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 회원 가족모임회장을 맡고 있는 안산양무리교회의 김희창 목사와 센터 회원 가족들, 안산시 단원보건소 관계자들도 참여했다. 박태순 의장이 찾은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진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1997년에 설립된 기관으로, 현재 총 36명의 인력이 안산시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장애인들의 사회복귀·회복을 위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태순 의장은 이날 현장에서 사업 내용과 운영 현황에 대해 설명을 듣고 센터 측과 회원 가족들의 애로사항을 파악했다. 특히 농작물 재배를 통해 자립과 사회성을 도모하는 외국의 공동체 사례를 소개하며 안산에 적용 가능한 정신건강 지원 사업 모델의 착안점을 제공하기도 했다. 아울러 지역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언어 장벽으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 사업의 필요성을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