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배리어프리 영화 상영 , 전체 상영 횟수의 0.1% 도 안돼

 배리어프리 영화상영 횟수 , 6 년 째 전체 상영 횟수의 0.1% 도 못 미쳐
시 · 도별 배리어프리 영화관은 1~2 곳에 불과 , 관람 기회는 극히 제한적
양문석 국회의원 , “ 배리어프리 상영관 확대 및 동시상영시스템 도입 시급 ”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양문석 의원 ( 더불어민주당 , 안산갑 ) 은 시 · 청각 장애인도 영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화면해설과 자막을 탑재해 영상을 제작하는 배리어프리 영화 상영횟수가 전체 상영횟수의 0.1% 도 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다 .

 

양 의원이 영화진흥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 2023 년 기준 전체 영화 상영횟수 5,707,491 회 중 배리어프리 영화는 단 2,759 회 상영됐으며 , 이는 전체의 0.05% 에 불과하다 . 

 

이와 대조적으로 99.95% 인 5,704,732 회는 비장애인 관객을 위한 상영으로 , 장애인 관람권 보장이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

 

특히 , 배리어프리 영화관은 전국 시 · 도별로 1~2 곳에 불과하며 , 상영 날짜와 시간 , 개봉 영화 역시 극히 제한적이라 시 · 청각 장애인들이 영화관람을 할 기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

 

양 의원은 “ 장애인차별금지법 21조에 명시된 영화문화 향유권은 단순한 시혜가 아닌 , 법적 권리 ” 라며 , 배리어프리 상영관 확대와 동시상영시스템( 폐쇄형 기기 ) 도입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 

 

그는 또한 , 영화진흥위원회가 배리어프리 영화 관람 환경 개선 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 법적 구속력이 부족해 주요 영화관들이 여전히 관련 규정을 따르지 않고 있는 점을 비판했다 .

 

지난 2016 년 장애인들이 제기한 차별 구제 소송에서 1심과 2심을 승소했음에도, 법원의 판결이 6년 넘도록 영화산업에 반영되지 않고 있는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 

 

배리어프리 영화상영을 3% 로 확대하라는 법원의 판결도 유명무실한 상황이다 .

 

또한 , 2022 년 영화예술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 비장애인의 41.1% 가 1 년간 2~4 편의 영화를 관람한 반면 , 장애인의 39.8% 는 1 년 동안 영화관에서 영화를 본 적이 없다고 답해 , 영화 관람권의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

 

양문석 의원은 “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영화문화 향유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영화진흥위원회가 적극적으로 배리어프리 상영관을 확대하고 , 동시상영시스템 도입을 의무화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