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가 지난 12월 1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5년도 정부예산 수정안을 분석한 결과, 전년 대비 5,774억 원(3.1%) 늘어난 19조 1,412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12일 밝혔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서민·사회적 약자 등을 지원하는 복지 분야 예산은 지원대상 증가와 정부 복지정책의 확대 영향으로 2024년 13조 1,033억 원에서 2025년 13조 6,215억 원으로 5,182억 원 증가했다. 대표적인 사업에 ▲기초연금 4조 1,314억 원 ▲생계급여 1조 5,484억 원 ▲주거급여 6,909억 원 등이 있다. 철도·도로 등 사회기반시설(SOC) 분야의 경우 사업 준공 및 공정률 등에 따라 전년 확보액 3조 3,120억 원 대비 다소 줄어든 금액인 3조 1,597억 원을 확보했다. 대표적인 사업으로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2,120억 원 ▲월곶~판교 복선전철 1,720억 원 ▲신안산선 2,650억 원 ▲도봉산~옥정선 795억 원 ▲서부내륙(평택~부여) 민자 고속도로 7,351억 원 ▲수도권 제2순환(김포~파주) 고속도로 415억 원 등이 있다. 환경 분야 예산으로는 ▲전기자동차 보급 3,341억 원 ▲수소전기차
[참좋은뉴스= 김태형 기자] 경전철 2량으로 운영되는 김포골드라인 지하철이 연일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신안산선 노선도 3량으로 운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우려를 낳고 있다. 지금까지 통상 알려지기로는 2010년 KDI(한국개발연구원) 신안산선 기본계획에 따르면 6량 1편성이었다. 그러나 2012년에 신안산선 사업이 SOC(민자사업)으로 전환되면서 신안산선의 열차가 6량 1편성에서 3량 1편성으로 축소됐다. 사업시행사인 넥스트레인은 신안산선에서 운영할 3량 1편성 열차의 발주를 곧 시작할 것으로 알려져 김포골드라인과 같은 사태가 벌어지면 혼잡 개선까지 4~5년의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라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넥스트라인의 관계자에게 KDI와 다른 결과에 대해 묻자 “수요조사와 혼잡률 조사를 해 봤을 때 3량이 적당하다고 해서, 국토부에서 고지가 됐다. 승강장은 6량 기준으로 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철도투자개발과 담당자는 “수요조사분석보고서는 사업 시행자 측에 있다. 민자 사업이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6량으로 잡았으나 민자 사업으로 변경이 되면서 민간사업자가 수요분석으로 차량수를 정한 것이다. 우리와 실무 협상하는 과정에서 3량으로 결정이 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