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너의 노래를 들려줘, KBS 2TV 새 월화드라마 연우진-김세정-송재림-박지연, 신(新) 미스터리 로코 탄생 예감! 열정폭발+웃음만발+화기애애한 대본 리딩 현장 공개!

(미디어온) 오는 7월 안방극장을 미스터리 로코로 물들일 KBS 2TV 새 월화드라마 ‘너의 노래를 들려줘’가 화기애애했던 대본 리딩 현장을 공개, 예비 시청자들의 흥미지수를 높이고 있다.

KBS 2TV 새 월화드라마 ‘너의 노래를 들려줘’는 살인사건이 있었던 ‘그날’의 기억을 전부 잃은 팀파니스트가 수상한 음치남을 만나 잃어버린 진실을 찾아가는 미스터리 로코다. 훈남의 정석 연우진과 대세 연기돌로 거듭난 김세정(구구단)의 신선한 만남으로 올 하반기 기대작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날 ‘너의 노래를 들려줘’ 대본 리딩 현장에는 메가폰을 잡은 이정미 감독과 집필을 맡은 김민주 작가를 비롯해 연우진(장윤 역), 김세정(홍이영 역), 송재림(남주완 역), 박지연(하은주 역), 이시원(홍수영 역), 윤주희(윤미래 역), 김상균(문재형 역), 유건(마이클 리 역), 박찬환(홍지섭 역), 윤복인(박영희 역) 등 ‘너의 노래를 들려줘’를 이끌어 갈 주역들이 한 자리에 모여 작품에 대한 열의를 다졌다.

본격 시작에 앞서 연우진은 “우리 모두에게 행복한 2019년 여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파이팅!”이라며 열정 넘치는 각오를 드러내 활기찬 출발을 알렸다. 본격적으로 리딩이 시작되자 배우들은 저마다 캐릭터에 몰입해 생생하게 살아있는 연기를 펼쳤다. 첫 만남에도 불구하고 차진 호흡과 리얼한 케미들을 맞춰가며 미스터리 전개 속 로코의 묘미를 십분 살려냈다.

극 중 수상한 음치 알바생 장윤 역을 맡은 연우진은 캐릭터 특유의 개성을 살리는 생생한 연기로 유쾌함을 한층 끌어올렸다. 특히 능청스러운 음치 연기가 시종일관 리딩 현장의 웃음을 끊이질 않게 했다고. 홍이영 역의 김세정 역시 한층 섬세하고 안정된 연기를 펼쳐 어느새 캐릭터와 혼연 일체된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송재림은 예술적 기질이 넘쳐나는 오케스트라 지휘자 남주완 역을 매력적으로 표현, 화면으로 만나볼 그의 연기를 기대케 했으며, 박지연은 말투와 표정만으로도 냉미녀 하은주 캐릭터의 매력을 배가시켰다.

이날 이정미 감독은 “드라마를 해보면 혼자 힘으로 되는 게 아무것도 없다. 좋은 대본과 좋은 스태프, 좋은 배우 분들이 있어야 하고 다 잘 맞아떨어져야 좋은 드라마가 된다. 9월까지 촬영이 진행될 텐데 더운 여름, 힘드시더라도 즐겁고 재밌게 잘 마무리 했으면 좋겠다”라며 사기를 북돋았다.

이처럼 개성 가득한 배우들의 완벽한 연기 하모니를 알리며 힘찬 첫 발을 내딛은 KBS 2TV 새 월화드라마 ‘너의 노래를 들려줘’는 허를 찌르는 미스터리와 리얼 청춘 로맨스, 여기에 귀를 즐겁게 하는 음악까지 더해 올 여름 시청자들의 오감만족을 선사, 오는 7월 방송 예정이다.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