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8월 소비자물가 2.0% ↑…3년 5개월 만에 최저 상승률

식료품·에너지 제외 근원물가 2.1%↑ 33개월 만에 최저…생활물가도 최저 상승률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0% 오르며 3년 5개월 만에 최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8월 들어 햇과일 출시,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 오름세가 크게 둔화된 영향이다. 

 

식료품과 에너지 제외 근원물가는 2.1% 오르면 33개월 만에 최저치였고, 생활물가도 2.1% 상승하면서 1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54(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해 2021년 3월(1.9%) 이후 4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 폭을 나타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8%로 꼭짓점에 이른 후 올해 1월 2.8%까지 둔화했고 2월과 3월 3%대로 다시 상승세였으나, 4월부터 5개월 연속 2%대의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년 동월 대비 2.4% 올랐다. 

 

배(120.3%), 사과(17.0%) 등의 상승세는 여전했으나, 해산물과 채소류 중심으로 가격이 안정되면서 전반적인 상승 폭이 5.5%에서 2.4%로 수그러들었다. 

 

공업제품도 수입승용차(5.1%), 자동차용LPG(16.8%) 등이 올랐지만 경유(-1.9%), 휘발유(-0.7%) 등은 지난해 대비 하락해 1.4% 오르는 데 그쳤다. 

 

석유류 물가 상승률은 0.1%로 7월(8.4%) 대비 상승 폭이 크게 축소돼 지난 2월(-1.5%) 이후 6개월 만에 최저치다. 

 

전기,가스,수도는 도시가스와 지역난방비가 각각 6.9%, 9.8%씩 오르면서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다. 

 

서비스 물가는 공공서비스가 1.4%, 개인서비스도 3.0% 올라 지난해 대비 2.3% 상승했다. 

 

보험서비스료(15.1%), 공동주택관리비(5.1%), 외래진료비(2.0%) 등이 올랐으나, 가전제품렌탈비(-6.9%), 자동차보험료(-2.7%), 유치원납입금(-5.5%) 등은 하락했다. 

 

식료품과 에너지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해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지만 전달 대비 0.1%p 하락하며 3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농산물,석유류 제외 근원물가지수는 1.9% 올랐지만 전월 대비 상승 폭이 0.2%p 하락하며 2021년 8월(1.9%) 이후 3년 만에 최저치다.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올랐고 전월 대비 0.9%p 하락해 1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된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3.2% 상승했지만 전월보다는 상승 폭이 4.5%p 줄었다. 

 

신선과실은 전년 동월 대비 9.6% 올랐으나 상승 폭이 전월보다 11.7%p 줄었고, 신선채소와 신선어개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7%, 0.1% 하락했다. 

 

정부는 추석이 다가오면서 성수품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배추,무, 사과,배 등 20대 성수품을 역대 최대인 17만톤 공급하고, 700억 원 규모의 농축수산물 할인지원을 추진하는 등 물가 안정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출처=기획재정부]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