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고문> 청년들은 왜 비트코인에 열광하는가

 

[참좋은뉴스= 진보당 안산시위원회 부위원장 박범수]

 

열풍을 넘어 광풍의 비트코인입니다.

 

국민 10명 중 1명이 가상화폐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권은희 국회의원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상자산에 투자한 이들은 511만 명입니다. 대한민국 경제활동인구 대비 가상화폐 투자자는 19% 가량 됩니다. 빠르게 투자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신규 투자자 60%는 2030 세대입니다.

 

주식도 만만치 않습니다. 주식 투자자는 천만을 돌파했고 올해 신규가입자 56%는 2030 청년세대라고 합니다. 엄청납니다.

 

한편에서는 청년들이 열심히 일해서 돈 벌 생각 안 한다고 혀를 차기도 합니다. 하지만 생각해봐야 합니다. 청년들 왜 이렇게 비트코인과 주식에 열광하는지를.

 

청년들이 왜 이렇게 비트코인에 열광합니까?

 

비트코인 같은 위험한 투자가 아니면 답이 없기 때문입니다. 너무나 벌어진 출발선의 차이를 좁히고 싶어 청년들은 비트코인에 뛰어듭니다.

 

‘개천에서 용난다’는 옛 말이 되어 버렸습니다. 부모의 자산이 나의 자산과 주거형태를 결정하고 부모의 학벌과 인맥이 대물림 되고 있습니다. 흙수저를 물려받은 청년은 평생 흙수저로 살아야 합니다. 어릴 때부터 휴거지, 빌 거지(휴먼시아 거지, 빌라 거지라는 뜻으로 초등학생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은어)로 차별 받으며 살았는데, 앞으로 평생 집 살 가능성이 없습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11억, 이 아파트를 사려면 한 달 200만원씩 50년 저축해야합니다. 경기도 아파트 평균 5억, 100만원씩 42년을 모아야 합니다. 대출을 받아 사더라도 평생 빚과 이자를 갚으며 살거나 집 값 떨어질까 불안해하며 살아갑니다. 그나마 이 이야기도 괜찮은 직장이 있는 청년들 이야기이며, 대한민국 절반은 무주택자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부모를 원망해야 할지, 내가 태어난 게 죄인지, 여러 생각이 듭니다. 희망이 없는데 꼭 살아야 하나 생각도 듭니다.

 

그래서 일까요?

 

많은 청년들이 자살로 생을 마감합니다. 또한 고독사로 죽어가고 있습니다. 청년 우울증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데 올해 통계를 보면 OECD국가 중 우리나라가 우울증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 취업난과 주거 문제 등 경제적 어려움과 신변문제가 우울증의 원인 이라고 합니다. 이쯤 되면 청년들의 자살과 고독사 문제를 사회적 타살로 보아야 합니다.

 

9포 세대를 넘어 n포 세대로, 모든 걸 다 포기하고 사는 청년들에게 살아야 할 이유가 있습니까? 평생 일해도 집 한 채 사기 힘들고, 제 몸 하나 건사하기 힘든데 연애, 결혼, 출산에 대한 꿈이나 꾸겠습니까?

 

출생률 2년 연속 전 세계 최하위, 전 세계 자살률 1위. 출발선에서 뒤쳐져서 희망이 없는 청년들은 출발선을 맞추고 싶어 비트코인으로 몰려갑니다. 내 삶을 잘 살고 싶은 바램, 결혼 출산 주거 인간관계 꿈 희망 모든 것을 포기하고 사는 청년들은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기 위해 비트코인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얼마 전 국민의 힘 이준석 대표 선출이 이변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국회에서, 시의회에서 청년 정치인을 찾기 어렵습니다. 과거 민주화를 위해 앞장선 586세대는 지금 한국사회 정치의 주류가 되었지만 그들은 또 다른 기득권 세력이 되어 청년문제에 대한 대안을 만들지 못하고 있습니다.

 

청년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청년 당사자의 목소리가 커져야 합니다. 2022년 지방선거, 안산에서도 청년 정치가 꽃 필 수 있도록 시민들의 응원과 지지가 필요합니다.


정치

더보기
‘416 기억저장소’ 세계기록유산 첫 관문 통과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강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5)은 세월호 참사 ‘416 기억저장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다. 강 의원은 “전명선 관장님을 비롯한 유가족들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가슴이 뜨겁게 일렁였다”며 “416 기억저장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단순히 참사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무고하고 안타까운 어린 생명들을 잃은 그날의 눈물과 절규를 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품겠다는 간절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등재 추진은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희망의 선언이기도 하다”며 “아이들의 꿈과 목소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도록, 그리고 전 세계가 함께 기억하고 교훈을 나눌 수 있도록 반드시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강 의원은 내년 예정된 최종 등재 심사에 대해서도 “좋은 소식이 이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경기도의회 역시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의 기록물과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공간으로, 유가족과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