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경희 국민연금공단 안산지사 지사장 필자는 국민연금공단(이하 공단이라 함)에서 35년간 근무하고 있다. 오랜 기간 공공기관에 근무하면서 깨달은 점은 공직자로서 모든 일에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할 것은 주인인 국민이 우리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한 부분이다. 그중에서도 올바른 공직관은 무엇보다 중요하고 공공기관에 대한 높은 신뢰는 바로 ‘청렴’에서 비롯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선조들의 지혜로부터 배울 점이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 다산 정약용 선생은 목민심서에서 공직자의 기본 덕목으로 율기육조(律己六條)를 설파하였다. 그중 가장 중요한 제1조와 제2조가 칙궁(飭躬)과 청심(淸心)이다. 즉, ‘몸가짐을 단정히’하고 ‘청렴’하라는 것이다. 요즘 강조되고 있는 ‘청렴’이 약 200년 전에도 공직자의 최우선 덕목으로 소개되어 있는 것이다. 공단은 ‘국민연금 임직원 행동강령’, ‘이해충돌 방지제도 운영예규’, ‘청렴교육 의무화’ 등을 통해 청렴하고 공정한 업무처리와 투명한 조직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또한, 임직원 6대 비위(금품·향응수수, 채용비리, 공금횡령·유용, 마약, 성비위, 음주운전)행위 시 엄중처벌과 불이익을 감수한다는 ‘청렴서약
가온철강 이사 유진명 태양광 사업을 하시는 분들과 명절 전에 가벼운 식사를 할 기회가 있었다. 깊이 있게 이해는 못했지만 기억하는 요점은 “현재는 양극화 되어 있다! 한전과 관련한 pf대출로 조달 되는 사업은 전멸에 파산 상태이고, 반면 환경부와 관련된 정책사업 쪽은 괜찮거나, 좋을 듯 하다!” 생각해보았다. 20년 세월이 지난 것 같은 이 사업은 너무 큰 파도를 겪는 것 같다. 최근에는 논밭에, 저수지에 양식장 옆에도 반짝이며 들어서는 것 같더니만, 정부에서 원자력에 다시 매진 한다는 말이 나오고, 한전 회사채 발행으로 30조원대의 적자를 땜질 하겠다는 방안이 나오는 등 혼란스러운 모습에 철강 산업은 따라서 갈팡질팡하고 있다. ‘Re100’은 국제적 기업 간 협약 프로젝트로 재생에너지의 활용을 100%로 사용해야 한다는 간략한 이해를 하고 있는 필자에게는 한전의 문제를 금융으로, 정책으로 해결하는 것도 문제지만, 직접적인 손해를 보는 한전이라는 공기업이 원청이라고 절대적인 신뢰로 저가 도급을 한 하도 업체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이나, 배려가 없는 것 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 사업이 정치적인 방향이 좌회전, 우회전을 반복하는 사이에 새우 등 터지는 것은 아랑곳
겉옷이 무겁게 느껴졌던 춘삼월, 성급한 봄꽃도 미소를 띠며 맞이한다. 보는 눈이 심심치가 않았다. 내가 사는 대부도는 아직도 만물들이 침묵하고 있는데 한국 제일의 도시는 공기가 확연히 달랐다. 올해 나의 버킷리스트는 고궁 도시 서울 투어다. 서울은 조선왕조 500년의 역사가 담겨있다. 정전이 있는 고궁이 5개다. 경복궁 창경궁 창덕궁 경희궁 덕수궁이다. 고궁은 검이불루(儉而不陋) 화이불치(華而不侈)라, 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 모처럼 섬 아낙은 한양 나들이에 나섰다. 종묘(宗廟)를 향해 버스 타고 지하철도 갈아타면서 장장 세 시간 걸렸다. 마침내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역사의 현장 서울에 도착했다. 종로 3가에서 취미가 같은 조카며느리와 만나 유네스코가 지정한 자랑스러운 세계문화유산 종묘 탐방에 들어갔다. 나는 요즘 역사에 대해 관심이 많다. 특히 글쟁이들은 박학다식해야 한다. 아는 만큼 글 주머니에서 술술 나오기 때문이다. 해설사 내용이 머릿속에 쏙쏙 들어오도록 종묘에 대해 예습하고 갔다. 종묘를 둘러보며 한 시간 해설을 들었다. 왠지 아쉽다는 생각이 들어 다시 한 번 차근히 살펴보고 싶었으나 시간제한이 있었다. 단 주말에는 자
이토록 평범한 미래 필자 김정아 필자의 취미는 명실상부(名實相符)한 독서였다. 초등학교 때였나? 가정환경조사 비슷한 서류를 작성하다가 정확히 나의 취미가 뭔지 모르겠어서 남들 따라 독서라고 쓴 적이 있었다. 선생님께 거짓말을 하면 안 될 것 같아서 그 때부터 진짜로 책을 취미삼아 읽기 시작했는데, 그 덕분에 독서의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그 후로 필자의 취미는 줄곧 독서였다. 하지만 직장생활과 육아에 지치고 스마트폰에 빠져들다 보니, 어느새 한 달에 책 한 권 읽기도 어려운 처지가 되고 말았다. 그러던 중 우연히 장애 엄마들의 밴드에서 책모임 후기글을 읽고는 주저 없이 참여 신청을 했다. 월 1회 정도면 회사에 휴가를 쓰고서라도 갈 작정이었다. 그렇게 시작한 모임이 어느새 3회차가 되었다.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싶은 책을 정해서 한 달에 한권씩 읽고, 모여서 서로의 생각을 나누었다. 그 과정에서 오랜만에 사색의 즐거움을 느끼고, 또 서로에게 점점 깊은 공감과 연대의식을 갖게 되었다. 지난 모임의 책은 『이토록 평범한 미래』라는 김연수 작가의 소설집이었다. 소설가였던 지민의 어머니는 작품 속에서 시간여행을 통해 세 번의 삶을 살게 되는 연인에 대해 이야기한다.
풍속화는 그 시대의 풍습이나 일상생활을 표현한 그림이다. 그림에 문외한 나는 얼마 전부터 그림이 좋아졌고 알수록 흥미롭다. 그 이유는 그림 한 폭 한 폭에는 내가 모르는 많은 이야기가 담겨 있다. 그 무엇 하나 그냥 그려진 게 아니라 다 뜻이 있고 의미가 있다. 나는 당대 최고의 화가 단원 김홍도에 대해 너무 몰랐다. 익살스러운 풍속 화가로만 알고 있었을 뿐이다. 하지만 화가는 시서화라 하여 시, 서예, 그림, 게다가 악기까지 모두 통달한 천재였다. 풍속화뿐 아니라 산수화 동물화 인물화 등 가리지 않고 독특한 화풍으로 놀랍게도 300여 점이나 남겼다. 관직에 오르지 못하는 중인 김홍도는 스승인 강세황을 만나 도화서 화원이 되었다. 천부적인 재능을 알아본 정조대왕과 강세황은 김홍도를 당대 최고의 화가로 만들었다. 각종 행사장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그림으로 나타내는 궁중 기록 화가이기도 했다. 단원의 궁중 기록화 대표작은 평안감사 향연도와 화성능행도이다. 물론 화원들과 함께 그렸다. 평안감사향연도(平安監司饗宴圖)는 평안감사 부임을 축하하는 연회이다. 대규모의 인물 풍속화로서 번성한 도시였음을 알 수 있다. 남녀노소 다양한 계층들이 모여 자유롭게 즐기는 모습을 나타
참좋은뉴스 창간정신위원 서재필 (동서남북교회 담임 목사) 어느 날 하루살이와 베짱이가 만나 즐겁게 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해가 뉘엿뉘엿 지기 시작했습니다. 베짱이는 하루살이에게 “벌써 저녁이네! 내일 만나서 놀자”며 인사를 했습니다. 그러나 하루살이는 도무지 알아들을 수가 없었습니다. “내일?” 제비가 물을 마시려 우물가를 찾았습니다. 마침 우물 안에는 개구리 한 마리가 있었습니다. 제비를 본 개구리는 “너는 어디에서 왔니?”라고 묻습니다. “응, 바다 건너 먼 곳에서 왔어” 그러나 개구리는 도무지 알아들을 수가 없었습니다. “바다?” 우리는 지난 한 해 참 정의롭고 공평한 세상에서 살았습니다. 동의하지 않으시나요? 왜일까요? 49년생인 저는 가난을 벗어나 어머니를 꼭 모시고 살겠다는 일념으로 고향을 떠나 16살에 상경했습니다. 구두닦이, 우산 판매, 건어물 장사 등등 안 해 본 일이 없을 정도로 정말 성실히 살았습니다. 그리고 어렵게 모은 돈으로 어머니를 모시고 함께 살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세운상가 일대는 피땀을 흘리며 성실히 사는 사람들과 그런 이들의 골육을 빼먹으려는 부랑자들이 섞여 사는 혼탁한 세상이었습니다. 내 한 몸만 편하게 살겠다는 생
실직 중 지역가입자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 지원 국민연금공단 안산지사 백경희 지사장 얼마 전인 2022년 5월 국민연금공단은 제도 시행 34년 만에 ‘수급자 600만 명 시대’를 열었다. 국민연금 수급자는 2020년 4월에 500만 명을 넘은 이후 2년 1개월 만에 600만 명을 돌파했다. 수급자의 급속한 증가는 고령화 시대를 맞아 국민연금이 국민의 노후 생활 안전망으로서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하나, 이런 성장의 이면에는 팍팍한 생활로 보험료 납부가 부담스러워 못 내는 분들이 아직 많다. 매월 내야 하는 보험료가 부담스러워 납부를 기피하기도 하며 소득 파악이 제대로 되지 않아 사각지대에 놓이기도 한다. 한편 지역가입자인 국민은 연금보험료 중 일부를 사업주가 내주고 있는 근로자와 달리 보험료 전부를 본인이 내고 있어 보험료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볼 수 있음에도 그간 지역가입자인 국민에 대한 국가의 지원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복지당국과 공단에 형평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또한 사업 중단 또는 실직 등으로 연금보험료 납부예외를 신청하신 분들은 대표적인 국민연금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분들로서 소득이 발생하여 보험료 납부를 재개하는 경
행복한가정미래연합 서재필 이사장 (동서남북교회 담임목사) 어느 날 지금의 세태를 놓고 묵상하다 엉뚱한 생각에 빠졌다. 예수는 제자들에게 남을 판단하지 말라는 가르침을 주셨다. 남을 판단하는 대로 아버지께 심판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정작 당신은 ‘부자들’에 대한 단호한 판단을 내리신다. “부자가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귀를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 여기서 바늘 귀란 고대 중동 도시 중 하나가 마을 입구가 몹시 좁은데서 유래 했다는 설이 있다. 마을로 드나드는 성 문이 너무 좁아서 바늘귀라고 불렸다고 한다. 상인들이 낙타에 짐을 싣고 문을 지나기는 녹녹치가 않다. 물건을 내려야 하고, 낙타 몸집이 크다면 구겨 넣는다는 표현이 딱 어울리는 모습이 연출된다. 또 다른 설은 낙타는 사실 ‘밧줄’을 뜻하는 그리스어가 낙타(kamelos)와 혼돈했다는 설이다. 그리스어 낙타(kamelos)와 동앗줄(kamilos)이 유사하여 혼동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아래와 같은 표현이 된다. “부자가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동앗줄이 바늘귀를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 둘 중 무엇이 사실이든지 간에 부자를 복 받은 사람이요, 복은 신령한 사람이
[참좋은뉴스= 강희숙 기자] <안산시외국인주민지원본부에게 바란다> 세계적인 다문화도시 안산! 다문화의 진정한 가치를 이해하고, 변혁적 리더십을 기대하며 기고 강희숙전문기자 공단을 배후로 둔 안산시는 1986년 시 승격으로 인해 유동인구가 유입되면서 놀라운 발전을 거듭해왔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기준을 상회하는 전국 최고 수준의 녹지율,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세계 최대 규모의 시화조력발전소, 다가오는 5월5일에 개최하는 우리나라 공연예술축제를 대표하는 올해로 18회를 맞이하는 안산국제거리극축제, 또한 현재 반달섬을 중심으로 조성중인 80㎢넓이의 시화호를 해양관광레저단지로 개발하는 등 안산시를 대표하는 수식어는 참으로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가장 괄목한 성과 중 하나는 전국 최고 외국인이 거주하는 다문화도시답게 전국최초이자,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상호문화도시’로 지정된 점이라 할 수 있다. 100여개국의 나라에서 온 8만여명이 넘는 이주민이 모여 살고 있는 곳,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도시로 급부상한 점이다. 다문화도시 안산을 대표하는 원곡동 국경없는마을은 과거에는 부정적 이미지로 인식되었지만 다양한 문화교류와 이색문화를 체험할 수 있어 ‘20
백경희 / 국민연금공단 안산지사장 수익금 91조 2천억 원, 수익률 10.77%, 바로 대한민국 국민들의 노후를 책임지는 국민연금의 2021년 기금운용 성적표다. 수익금은 역대 최고 규모고 수익률은 지난 2019년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지난 한 해 동안 수급자에게 지급한 연금액이 29조 1천억 원이니, 3.1년 치 연금액을 번 셈이고, 연간 보험료 수익(53조 5천억 원)의 1.7년 치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또한, 2021년말 기준 KOSPI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의 연간 영업이익 합계(84조 4천억 원) 보다 훨씬 많다. 이번 성과는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국내외 금융위기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투자 다변화 및 포트폴리오 조정 등 고도화 전략과 선제적 위기대응 체계 가동, 투자 리스크관리를 통해 이뤄낸 결과이기에 더욱 의미가 크다. 한편, 국민연금기금은 1988년 이후 지난 해 말까지 연평균 누적 운용수익률 6.76%, 총 누적 운용수익금 530조 8천억 원의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최근 3년 동안의 누적 수익금이 236조 8천억 원으로, 총 누적 수익금의 45%에 해당한다. 그간 가입자가 낸 보험료와 운용수익금으로 총 1,213조
천맥(泉脉) [원문] 井泉之水其盈有槩或有泉湧甚大而不能溢者何也水性就下未有一分上行者其必地中有空隙積水其髙下與此水面齊平因脉而出齊平之外不能増一分也比如曲竹為筒两頭向上従一頭注水入處髙而出處低則水便流出或两頭平又或入處低而出處髙則注滿之外一勺更不入也又安有流出乎地之有石如人之有骨穿地轉深則未有無石之理其間或空洞成壑其勢固然石窟之深者徃徃有泉瀑溪潭不可誣也地中隂寒蒸濕相薄凝露成水如今燒酒然所以流出也不然此水何従有㢤人謂髙峰絶頂有泉亦必源脉又在他逾髙之地緣地脉透出如向之竹筒然者也或有地氣噴湧成者此不過激而過顙之類非水之性也 ⓒ 성호기념관 [해설문] 우물물은 고이는 것이 한도가 있으니, 어떤 우물에는 많은 샘이 쏟아져 나와도 그 한도를 넘어가지 못하는 것은 어쩐 일인가? 물의 성질은 아래로 내려가기 마련이어서 1분도 위로 갈 수 없는 것이니, 그것은 반드시 땅 가운데 빈틈이 있어서 그곳에 고인물의 높이가 이 우물물의 높이와 같게 된 때문이다. 그 물이 맥을 따라 나와서 높이가 같게 된 뒤에는 1분도 더 나오지 못하는 것이다. 비유하면, 꼬부라진 대[竹]로 통(筒)을 만들어서 양쪽 머리를 위로 올라오게 하고 한쪽 머리에서 물을 부으며 들어가는 곳은 높게 하고 나가는 곳은 낮게 하면 물은 그대로 흘러나가지만, 양쪽 머
제1화 글쓴이 최인현 우리 겨레는 유구한 력사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슬기롭고 강인하며 근면하고 총명한 우수한 민족이다. 수천 년의 역사 속에서 우리 겨레는 찬란한 문화와 전통을 창조하였고 인류문화에 지울 수 없는 위대한 기여를 한 민족이다. 그러나 19세기 말부터 조선 왕조는 국가 주권을 잃기 시작하여 1910년에는 완전히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일본 제국주의의 압박 착취 탄압과 식민지 통치로 인하여 망국노가 된 우리 겨레들은 중국으로 이주가 많이 또 빨리 진행되었다. 삶의 길을 찾고 자유와 독립을 위하여 그리고 나라를 되찾기 위하여 중국으로 온 우리 겨레들은 민족의 기질을 그대로 발휘하여 중국의 여러 형제 민족들과 함께 뭉쳐서 중화민족을 억누르는 제국주의, 봉건주의, 관료자본주의를 무너뜨리기 위한 장기간 불굴의 투쟁을 해왔다. 더욱이 중국공산당의 지도하에 여러 민족과 같이 항일항쟁과 해방전쟁의 승리를 위하여 수많은 선열들이 피를 흘리고 목숨을 바쳐 숱한 공로를 이룩하였다. 방방곡곡에는 조선인(한인) 혁명가들의 발자취가 남아있고 선열들의 피가 물들어 있었다. 오늘의 주인공인 중심툰의 사람들도 예외가 아니라 조선의용군 항일전쟁 해방전쟁에
제2화 글쓴이 최인현 1947년도에 리종복 씨가 고향인 경북에서 북조선을 거쳐 이 마을로 이주를 하여왔고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이 고향인 권현찬 씨도 중국으로 이주 후 왕가툰을 거쳐 1948년도에 이 마을에 와서 정착하였다. 1945년부터 1952년 사이에 김철이 씨는 동네 후방 부녀회 대장을 담당하였고 그 당시 해방전쟁 시기라 열정적이고 헌신적인 김철이 씨는 여러 면에서 모범으로 특히 전선 지원 서란현 모범의 영예를 따내었다. 1955년부터 상생을 위하여 만주로 온 중심툰 1세대들이 산 좋고 물 좋은 후대 교육하기 좋은 곳을 찾아다니던 중에 이곳에 몇 가구씩 모이면서 황무지를 개간하여 안착하기 시작하였다. 1955년도부터 공산당의 민족정책에 따라 조선족끼리 호조조가 조직되고 1956년도에는 초급 합작사로 합병, 1957년도에는 고급 합작사로 합병이 되어 서란현 수곡류구 정의향 홍성3사 중심툰이라는 새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그때 소성에서 이주하여 온 3호 역시 한족 정의대대 11대에 편입되었다가 새로 개간한 10여 쌍의 하농장 수전을 가지고 중심툰에 입사하였다. 이렇게 산지사방에서 모인 가구 수는 20여 가구에 달하였다. 1958년도에 당의 삼면홍기 운동(
필자 김정아 비장애 둘째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갔다. 큰 아이와 같은 학교를 보낼지, 아니면 다른 학교를 보낼지 잠시 고민을 하기도 했다. 만약 두 아이의 학교를 달리 하려면 큰 아이를 다른 학교로 전학시키고, 둘째를 집 앞으로 보내는 방식으로 해야 했다. 하지만 이미 잘 적응하고 있는 큰 아이를 다른 곳으로 전학시키자니 아이에게도 필자에게도 번거롭기만 한 일이었다. 그렇다고 친구들과 다닐 수 있는 집 앞 학교를 두고 둘째를 다른 곳으로 보낼 수도 없었다. 그리하여 결국엔 두 아이가 같은 학교에 다니게 되었다. 입학식 다음날, 두 아이가 처음으로 함께 학교에 가는 날이다. 늘 혼자 등교하던 첫째는 준비를 마치고 현관문을 들락날락하며 기다리고 있다. 둘째는 엄마랑 오빠랑 다 같이 학교에 간다며 신이 났다. 장애 오빠로 인해 학교에서 놀림을 받을까봐 걱정스러운 엄마의 마음은 전혀 모르고 말이다. 그렇게 분주하게 아이 둘을 데리고 교문에 이르렀다. 첫째는 작은 목소리로 “다녀오겠습니다” 한 마디를 하더니 어슬렁어슬렁 교문으로 들어가 버린다. 둘째는 엄마를 한 번 안아주고, 큰 소리로 “잘 다녀올게~” 하더니, “오빠, 나도 같이 가야지!” 하며 뛰어가서는 오빠 손
전)경기도의회의장 송한준의원 기고문 「정조이산어록」 ‘결단은 빠르고 정확하게 하는 것이다’ 분명히 해야 할 일은 용기 있게 곧바로 하고, 분명히 해서는 안 될 일은 용기 있게 결단하여 곧바로 물리쳐야 한다. 할 만하기도 하고 안 할 만하기도 한 일은 반드시 충분히 헤아리고 깊이 생각해야 한다. 해야 할 한계와 해서는 안 되는 한계를 분명히 보게 되면 역시 용기 있게 결단하고 가슴속에 담아두지 말아야 한다. ‘모든 것은 때가 있다’ 임금과 백성을 배와 물에 비유할 때가 있다. 황석공(黃石公)의 『소서(素書)』에 "은거하여 도를 지키면서 때를 기다린다.(潛居抱道 以待其時.)"라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 장상영(張商英)은 "도(道)는 배(舟)와 같고 때(時)는 물(水)과 같다. 배와 노를 지니고 있더라도 건너야 할 강(江)이 없다면 또한 순조로운 항해를 볼 수가 없다." 12년의 의정활동을 하며, 무엇보다 중심에 둔 가치는 ‘신뢰’이다. 시민 개개인의 ‘권리’를 한 개인에게 투표를 통해 ‘권한’이란 이름으로 부여한다. 이러한 ‘권한’을 부여 받은 자로써 혹시나 남용 하지는 않았는가 끊임없이 돌아보고 절제하며 의정 활동을 해 왔다.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안주하지는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