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닥터 프리즈너, 28회 연속 압도적 수목극 시청률 1위!

”이재준 잡을 수 있는 카드가 생겼다는거죠”
남궁민, 최원영의 치명적인 약점 잡았다!
약점 잡은 남궁민에 대한 최원영의 반격 카드는 무엇?

(미디어온) ‘닥터 프리즈너’ 시청률이 16%를 재돌파했다.

지난 8일 방송된 KBS 수목드라마 ‘닥터 프리즈너’ 27, 28회 시청률이 각각 수도권 기준 13.2%, 16.0%, 전국 기준 11.9%, 14.5%로 28회 연속 동시간대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특히, 광고 관계자들에게 주요 지표인 2049 시청률 또한 초강세 기조를 유지하며 28회에서 6.2%를 기록, 13일 연속 해당일 전체 방송사 프로그램 중 압도적 1위를 이어갔다.

어제 방송에서는 남궁민이 최원영이 치명적인 유전병을 앓고 있음을 확신했다.

이날 나이제(남궁민 분)는 이재환(박은석 분)을 형집행정지로 빼내기 위해 온갖 수단을 강구했다. 이재환 또한 형 이재준(최원영 분)에 대한 복수 의지를 불태우며 나이제의 지시에 적극적으로 따랐다.

나이제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재환에게 급성신부전증이 발현하도록 만들었고, 마침내 이재환에게 원하던 증상이 나타나면서 형집행정지가 가까워지는 듯 보였다.

하지만 이재준의 계략으로 이재환의 임검 날짜가 일주일 뒤로 미뤄지면서 신부전증을 유지할 경우 이재환이 위험한 상황에 놓일 것이라는 판단에 다른 병을 찾기로 했다.

우선적으로 가족력을 알아보던 나이제는 선배 장민석(최덕문 분)과의 대화 도중 모이라가 이덕성 회장의 병에 관해서 숨기는 것이 있음을 눈치챘다.

이후 이재인(이다인 분)과 한소금(권나라 분)의 도움으로 이덕성 회장이 앓던 병이 알츠하이머가 아닌 가족력이 있는 유전병인 ‘헌팅턴무도병’이었음을 알아냈다. 또한 이재준 역시 이덕성 회장과 같은 병을 앓고 있다고 확신했다.

한편, 이재환을 처리하라는 이재준의 지시를 받은 최동훈(채동현 분)은 이재환이 잠든 사이 그에게 주사를 놓으려했지만 이를 대비하고 있던 이재환은 그를 저지했다. 나이제는 제압당한 최동훈에게 사주한 사람에게 전화하라고 했고 최동훈은 이재준에게 전화를 했다.

전화가 연결되자 나이제는 상대방의 말을 듣지도 않고 이재준이 태강 케미컬 노동자를 살해지시한 녹취록을 갖고 오라고 했다.

나이제는 최동훈을 사주한 것이 이재준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짐짓 모르는 채 하며 선민식(김병철 분)이 자신과 이재준 사이에 줄타기를 하고 있는 것을 알고 그 고리를 끊으려고 한 것이었다.

이재준은 선민식을 불러 사실을 확인했고 선민식은 당당한 태도로 인정했다. 이에 이재준은 경고의 메시지로 수의를 집으로 보냈고 이를 알게된 선민식은 놀랐다.

극 말미 회장의 정확한 병명을 알아내려는 선민식이 병원장을 만나 유전병이 아닌지를 묻자 옆방에서 이를 엿듣고 있던 이재준은 굳은 얼굴로 방을 나섰고, 인기척 소리에 문을 연 선민식은 이재준과 눈이 마주쳤다.

모든 것을 걸고 싸우는 나이제와 이재준의 전쟁이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가운데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게 만들고 있는 ‘닥터 프리즈너’ 29, 30회는 오늘(9일) 밤 10시 KBS 2TV를 통해 방송된다.

관련기사


정치

더보기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 市 정신건강복지센터 격려 방문
[참좋은뉴스= 관리자 기자] 안산시의회 박태순 의장이 지난 3월 18일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해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최근 정신건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박태순 의장의 제안으로 마련된 이번 방문 일정에는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 회원 가족모임회장을 맡고 있는 안산양무리교회의 김희창 목사와 센터 회원 가족들, 안산시 단원보건소 관계자들도 참여했다. 박태순 의장이 찾은 안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진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1997년에 설립된 기관으로, 현재 총 36명의 인력이 안산시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장애인들의 사회복귀·회복을 위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태순 의장은 이날 현장에서 사업 내용과 운영 현황에 대해 설명을 듣고 센터 측과 회원 가족들의 애로사항을 파악했다. 특히 농작물 재배를 통해 자립과 사회성을 도모하는 외국의 공동체 사례를 소개하며 안산에 적용 가능한 정신건강 지원 사업 모델의 착안점을 제공하기도 했다. 아울러 지역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언어 장벽으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 사업의 필요성을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